메뉴 검색
케이-컬처 300조 원 시대… 정부, ‘케이-게임’ 육성 박차 최휘영 문체부 장관, 취임 후 첫 게임업계 현장 방문 대형·인디 게임사 및 협회 대표들과 정책 간담회 개최 세제 혜택·펀드 투자·AI 전환 지원 등 업계 건의 집 이창준 기자 2025-09-24 17:50:22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은 24일 경기 성남시 판교 글로벌게임허브센터와 게임인재원을 방문해 대형·인디 게임사 및 협회 대표들과 만나 새 정부의 게임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4일 경기 성남 판교 글로벌게임허브센터에서 게임업계 대표들을 만나 간담회를 갖고 새 정부의 게임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이번 행보는 장관 취임 이후 첫 게임업계 현장 일정으로, 정부의 ‘케이-게임’ 육성 의지를 강조한 자리였다.

 

간담회에는 넥슨 김정욱 대표, 크래프톤 김창한 대표, 넷마블 김병규 대표, 엔씨소프트 박병무 대표, 스마일게이트 성준호 대표 등 주요 게임사 경영진과 함께, 인디게임 <레전드 오브 슬라임>을 제작한 로드컴플릿 배수정 대표, <산나비>의 원더포션 유승현 대표, 기능성 게임 <30일>을 제작한 더브릭스게임 이혜린 대표도 참석했다. 또한 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회장과 한국모바일게임협회 김현규 부회장 등 업계 단체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게임 시장이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도입으로 ‘케이-게임’이 새로운 기회와 위기에 동시에 직면해 있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특히 영상·웹툰 분야에 적용되는 제작비용 세액공제를 게임에도 확대 적용하고, 대형 게임뿐 아니라 창의적인 인디 게임을 지원하는 펀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정부 지원과 게임 제작 환경의 인공지능 전환(AX) 지원 신설도 요청했다.

 

최 장관은 “저 역시 20년 전 게임업계 대표로 일하며 산업의 성장을 몸소 체감한 경험이 있다”며 “게임은 이미 영화에 버금가는 문화예술로 자리잡았고, 앞으로는 더욱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케이-게임’이 ‘케이-컬처’ 300조 원 시대를 여는 선도적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문체부가 다양한 정책적 마중물이 되겠다”고 밝혔다.

 

댓글

0개의 댓글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오피니언 더보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