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2)굿의 성패를 좌우하는 '조상거리'
굿은 12거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대부분 굿거리는 천지신명을 모셔 의뢰자의 소원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즉 무당들이 모시는 신들을 즐겁게 함으로써 바라는 바를 이루도록 기원하는 것이다. 굿에서 의뢰자는 굿이 어떻게 진행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고 우두커니 서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굿에 동화될 ...
-
[이경국 칼럼] 기생의 영정(影幀)사진
기생(妓生)에 대한 바른 이해가 부족하다. 특히 관기(官妓)에 대하여 오해의 소지가 많다고 본다. 기생도 정조(貞操)를 유지하고 절개를 지킨다. 몸을 함부로 쓰는 창녀(娼女)와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십상인데 이는 어불성설이다.기녀는 기적(妓籍)이 있다. 노비문서가 있듯이 말이다. 기예(妓藝)에 탁월한 기생으로 이름을 날린 명기도 ...
-
[이경국 칼럼] 장맛비 같은 가을비
가을인데도 마치 장맛비처럼 내린다. 이름하여 가을장마다. 올해 여름은 숨이 막히는 열대야로 속을 썩이 더니 가을인데 날씨의 변덕이 극성스럽기 짝이 없다.전력 소모량이 치솟아 아슬아슬한 지경에 이르기도 했다. 세상이 변하여 부채를 들기보다는 자동으로 바람이 이는 '손 선풍기'를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보인다.자연바람이 피...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1)신당이 가지는 의미
무교인(무당)이 내림굿을 한 후 제일 먼저 하는 일이 바로 신당(神堂.신령을 모셔 놓은 집)을 모시는 일이다.그러면 신당은 왜 모시는 것일까? 점을 보고 돈을 벌기 위한 영업장을 여는 것일까? 사람들이 그 앞에 와서 절을 하라고 모시는 것일까? 아니면 무당이 되었으니, 기본을 갖추기 위하여 그냥 모시는 것일까? 이 말도 틀린다고 할 수...
-
[이동식 역사 칼럼] (7)때늦은 후회
5천 년 중국사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제왕으로 평가되는 당 태종의 뒤에는 잘못을 진언하는 명재상 위징이 있었기에 찬연한 문화를 꽃피운 황금기가 열렸다. 위징은 태종에게 준엄했으며 정면으로 비판했으나 태종은 귀를 열고 200차례가 넘도록 위징의 간언을 수용하여 잘못을 바로잡았다. 정치의 교과서《정관정요》는 태종과 위징의 대...
-
[이경국 칼럼] 지옥(地獄)은 어디 있든 두렵기 마련이다.
인구(人口)에 많이 회자(膾炙) 되고 있는 말이 '지옥'일 것이다. 단어의 풀이로는 단순히 땅속에 있는 옥(獄)을 의미한다.감옥이 지상에 있어도 갑갑하여 죽을 지경인데 땅속 깊은 곳에 있다니 우선 무섭고 답답할 것이다. 감옥은 자유가 박탈 당하기 때문에 죽을 맛인 곳이다.따라서 '자유와 민주'는 민주국가의 양대 맥으로 여기...
-
[이경국 칼럼] 안산(鞍山)의 황톳길을 걷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맨발로 걷는 황톳길이 생겨서 본격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기로 작정을 했다.소싯적에는 벽을 바를 때 접착력이 좋으라고 황토에다 볏짚을 썰어서 넣었다. 서대문구에 위치한 안산(鞍山) 자락길에 서대문구청 (구청장 이성헌)에서 주민의 건강을 위하여 향톳길을 설치한 것이다.입구에는 신발장과 세족대가 있다. 걷기를 ...
-
[김주호 칼럼] 훈민정음 창제와 신미대사
현재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이고,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보배로운 글자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에 대한 각론 연구도 필요한 때다. 훈민정음의 창제원리를 천문도 내지 천부경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현재의 중성 순서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가 훈민정음의 중성 순서 •ㅡㅣㅗㅏㅜㅓㅛㅑㅠ...
-
[이동식 역사 칼럼] (6)먹줄이 발라야 정치도
먹줄이 발라야 정치도 바르게 된다옛날 사람들의 정치학 교과서에는 '목종승정(木從繩正)'이란 말이 있다. 원래의 뜻은 “나무(木)는 승(繩)에 따라가면 바르게 된다”는 것인데 승(繩)은 나무를 곧게 자르기 위해 먹으로 곧게 치는 줄, 곧 먹즐이니까 “굽은 나무라 할지라도 먹줄을 친 대로 켜면 바른 재목을 얻을 수 있다&rdqu...
-
[김주호 칼럼] 한글은 단군조선 때부터 있었다
일본 오사카 미에겐(三重縣)의 국조신을 모신 이세신궁(伊勢神宮)에는 신궁문고고자(神宮文庫古字), 신경(神鏡), 신사의 위독(位匵 : 나무로 깎아 만든 신주) 등에 훈민정음과 글자꼴이 유사한 신대문자(神代文字)인 아히루(阿比留)문자가 새겨져 있다. 다다이(田多井四郞治)씨는 그의 저서 《일본신대문자론(日本神代文字論)》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