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5대 정신건강지킴이 조은숙 교수
서울시 정신건강 브랜드 ‘블루터치’가 한해를 마무리하는 12월, 2017년 수고한 시민들이 자신의 마음상태를 돌아보고 마음건강에 관심을 갖고 실천하는 문화조성을 위해 ‘정신건강지킴이가 전하는 따뜻한 말 한마디’로 기획칼럼을 연재한다.
첫 번째 칼럼은 10월 위촉된 제25대 정신건강지킴이 조은숙 교수(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가 들려주는 ‘행복한 감정이 갖고 있는 놀라운 비밀’에 관한 글이다.
◇행복은 나눌수록 커진다
‘여섯 다리만 건너면 지구 위에 사는 사람들이 모두 아는 사이(Six Degrees of Separation)’라는 오래된 이야기가 있다. 한사람이 알고 지내는 사람이 대략 300명 정도가 된다고 하면 지구 위에 사는 60억 인구는 4단계 거치면 모두 아는 사이가 된다. 물론 지구 위의 사람이 언어, 국경, 문화 등의 어떤 장애물도 없이 균질한 사람이라는 가정이 필요하므로, 실제 확산 속도가 이렇게 빠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사스나 메르스 같은 질병과, SNS를 통한 정보의 확산 속도를 보면 세계는 예전보다 많이 좁아지고 접촉의 빈도와 속도가 빨라진 하나의 지구촌임을 실감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과거보다 많은 관계 속에서 외롭지 않게 살까. 안타깝게도, 사람 사이의 훈훈한 관계는 여전히 많은 장애물에 걸려 확산이 어려운 것 같다. 정보 소통의 발달이 인간 사이의 소통의 속도를 빠르게 만들어 줬지만, 많은 테크놀로지와 정보화 사회의 운영으로 실제로 인간미 있는 소통은 줄어든 것 같다.
사람은 자신을 진심으로 이해해주는 단 사람만 있어도 자살하지 않는다고 한다. 혼자서는 갈 수 없을 것 같던 광야도 동반자 한명이 있어 너끈히 걸어낼 수 있는 것이 사람이다. 함께 하는 것, 친구가 되어주는 것, 관계를 맺는 것, 사랑과 유대를 만들어나가는 것은 이리도 우리네 힘겨운 삶에 너무나 절실하게 필요하다.
그렇지만 관계가 공정하고 공평하게 만들어지지는 않다. 하나의 끈끈한 친구관계가 만들어지려면 때로는 서운하고, 억울하고, 마음 아픈 시간들을 묵묵히 견뎌야 한다. 그런 인내의 시간들을 디디고 관계라는 것이 만들어진다. 그러한 묵묵한 인내를 제대로 배우지 못한 현대인들은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데 서툴며, 관계로 인해 힘들어지면 쉽게 단절한다. 관계로 인해 상처를 받으면 아예 관계를 맺지 않고 살려고 한다. 상처를 주고받는 현대사회의 삭막한 관계 속에서, 우리는 마음 붙일 관계 하나 없이 살 수도 있다. 점점 늘어가는 고독사의 문제를 보면, 나를 포함한 미성숙한 현대인의 오늘의 자화상 같아서 너무나 가슴이 아프다.
[행복은 전염된다](원제: Connected, 김영사)의 저자 크리스태키스와 파울러는 3단계 영향 법칙’을 소개한다. 3단계 거리 안에 있는 사람들, 즉 친구, 친구의 친구, 친구의 친구의 친구와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이다. 행복·슬픔·외로움과 같은 감정이 3단계의 관계까지 퍼진다는 것이다. 친구가 행복하면 내가 행복할 확률이 15% 증가하고, 친구의 친구가 행복하면 10%, 친구의 친구의 친구가 행복하면 행복할 확률은 6% 증가하며, 그 영향은 4단계에서야 소멸한다. 이것은 행복 뿐 아니라 슬픔과 우울도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무얼 해야할지 알 수 있다. 행복하고 싶으면 행복한 사람 옆에 머무르고, 우울하고 싶으면 우울하고 냉소적인 사람 옆에 머물면 금방 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행복한 부모는 행복한 아이를, 슬프고 냉소적인 부모는 그와 비슷한 감정의 아이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쉽게 설명된다. 사람은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고 사귀는 것이 편하고 자연스러워서, 행복한 사람은 행복한 사람끼리 모이며, 우울한 사람들은 또 비슷하게 우울한 사람들 주변에 있거나 혹은 네트워크의 맨 끝에 고립되어 있기도 한다. 우울한 사람은 위축되어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면 우울한 사람은 서로에게 우울의 영향을 끼치면서 계속 그렇게 남아있어야 할까. 아니다. 개선이 필요하다. 행복한 사람, 건강한 사람이 슬프고 외로운 사람에게 다가갈 수 있다. ‘돕는 자가 누리는 혜택(‘Helper’s High’)’이라는 원리가 있다. 이타적 행동을 하는 것이 타인에게만 도움이 되는 게 아니라 돕는자 스스로에게 더 많은 엔돌핀을 생성시키고, 신체적 건강과 만족감·감사함을 넘치게 하여 돕는 자신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든다는 원리가 과학적으로 입증 되었다. 이 원리에 기초하면 행복한 사람은 행복한 사람 곁에 머물러 행복을 증진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우울한 사람에게 손을 내밀어 그의 곁에 있어주는 이타적 행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 수 있다.
우리 사회가 산업화와 정보화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빈익빈 부익부의 경향이 커지는 것을 느낀다. 신체적, 정신적 건강도 그런 것 같다. 행복한 사람은 점점 더 행복해지고, 외로운 자는 더욱 외로워지는 비인간적인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관계의 황폐함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이웃의 외로움을 살피고 친구가 되어주는 것이다. 그것은 나의 안전지대에서 머물지 않는 것이며, 손만 내밀면 가까이에 닿을 수 있는 내 이웃과 관계 맺는 것이다. 인사하고 말을 걸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일은 행복하고 건강한 사람이 해야하는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홍보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오피니언 더보기
-
[이경국 칼럼] 소금에 대한 바른 이해
'소금'에 대하여 병원의 의사에게 이의를 제기하고 싶을 때가 많다.바다는 3%의 염분으로 넓은 바다를 청정하게 유지한다. 인체는 0.9%만의 염분으로 건강체를 유지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천일염(天日鹽)을 먹고부터 건강과 평균수명이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1912년 평균수명이 28세였다. 그런데 소금 섭취량이 늘어난 194...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26)떡에 꽂는 ‘서리화’의 의미
황해도 만신들이 굿을 할 때는 반드시 떡시루에 서리화를 꽂는다. 서리화라는 명칭은 나뭇가지에 서리가 내린 것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그러면 서리화는 단순히 굿상을 아름답게 하고 신령님들의 통로인 꽃과 같은 기능만 가진 것일까 의문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을 보면 ‘흰털이 난 소를 모우(旄牛)’라고하며 &l...
[이동식 역사칼럼] (3)입을 막을 수 없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헌법에 명시된 이 개념은 백성이 주인공인 민주주의 체제에다 모든 사람들이 고루 화목하게 살아야 한다는 공화정의 개념이 합쳐진 것인데, 우리가 민주주의를 주로 미국으로부터 배워왔고 최초의 공화정은 로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들었지만 공화정의 역사는 동양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의 역사에서 정...
-
[사설] 국회는 또 국민을 속였다
정기국회가 열렸다. 그러나 국민이 본 것은 민생 해법이 아니라 '한복'과 '상복'이었다. 기쁨과 축복의 옷, 죽음과 애도의 옷이 정치 쇼의 소품으로 전락했다. 국회는 또다시 국민을 속였다.정치는 이미 편 가르기와 이간질로 국민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런데 이제는 상징마저 왜곡해 분열을 키운다. 국민은 웃지도, 애도하지도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㉕ 서울 굿의 유파
'서울 굿'은 동서남북으로 굿을 하는 무가와 장단 그리고 춤사위를 비롯한 상차림과 전안을 모시는 방법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데 보통 각심절본·노들본·구파발본 등으로 나눈다. 이렇게 한양 성내를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 서쪽으로 구분하게 된 내력은 오만수라는 무조(巫祖)에 의해서다. 오만수의 딸 넷 모두 아...
[이경국 칼럼] 인류의 종말에 대하여
어차피 사자성어로 생로병사(生老病死) , 생주이멸(生住異滅) , 성주괴공(成住壞空) 등은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계절의 춘하추동도 같습니다. 시원(始原)을 생각해 보면 재미가 쏠쏠합니다. 비가 온다는 것을 생각을 해 봅니다. 온다는 것은 가야만 올 수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오간다'라는 것은 '미닫이'...
많이 본 뉴스
- 광복 80주년, 과학으로 기억하다…국립과천과학관, 전시·강연 등 특별 행사 개최
- [이경국 칼럼] 노인 고독과 극단 선택
- [기자수첩] TK노인들, “삼성서울병원 안 가요”
- "만주지역 항일 무장투쟁은 경북 선열들이 주도"
- [김주호 칼럼] 다물(多勿)정신을 되살리자
- [이윤정 칼럼] 인간 유전자 편집 시대가 온다!!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㉓ 칠월 칠석날의 의미
- 현대차, LACMA와 협력 ‘타바레스 스트란’ 전시 개최
- LG유플러스 임직원, 광복 80주년 맞아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이주 피해 동포 지원
- KT멤버십, 휴가철 맞이 달달혜택 강화…커피·영화 무료 증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