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S전선(대표 명노현)은 중국 생산법인 LS홍치전선이 쿠웨이트 수전력부(MEW)와 5300만달러(약 580억원) 규모의 초고압 지중 케이블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LS홍치전선이 중동에서 수주한 첫 초고압 케이블 프로젝트이다. LS홍치전선은 내년부터 2019년까지 쿠웨이트 전역에 132kV급 케이블을 턴키로 공급한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LS홍치전선이 작년부터 비즈니스 모델을 내수 중심에서 중동, 아시아 등 해외로 바꾸고 꾸준한 수주 활동을 해 온 성과다”며 “LS홍치전선이 이번 수주를 기반으로 해외 수주를 본격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쿠웨이트는 다른 중동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도심 확대와 인구 증가 등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세에 있다. 다만 지난 수년간의 유가 하락으로 수백억원대의 전력 인프라 사업들이 주춤하면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전선 업체들간 수주전이 치열했다.
LS전선은 LS홍치전선과 크로스셀링(교차판매) 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했다.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은 국내에서, 그 외 제품들은 중국에서 제조하여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모두 확보하고, 본사가 기존 고객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지원하는 전략이다.
지중 케이블은 500kV급까지 상용화 되어 있으며, 전압이 높을수록 제품 개발과 시공 등에 기술력이 필요하다. 132kV급까지는 각국의 현지 업체와 중국 업체들이 이미 기술을 따라잡아 국내 업체들은 220kV급 이상의 케이블과 접속자재, 턴키 공사 등의 수주에 주력하고 있다.
LS전선은 향후 LS홍치전선을 활용, 특히 중국 자본이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해외에 투자하는 전력 인프라 사업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프로젝트의 경우 중국 내 생산 공장이 있는 업체에만 한정하여 입찰 기회를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
[이동식 역사칼럼] (4)네 가지 잘못
두만강 넘어 만주 일대에 흩어져 살던 여진족이 누르하치라는 영명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떨쳐 일어나 나라를 세우고 이름을 후금(後金), 곧 금(金, 1115∼1234)을 잇는 나라를 선언한 것이 1616년. 후금은 광해군(光海君)의 적절한 외교정책으로 조선왕국과 큰 마찰이 없이 지냈으나 1623년 반정(反正), 즉 군사 구데타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집권...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27) 무당과 의사
의사들을 과학자라 한다. 그러나 얼마나 과학적인지는 모르겠다. 예전에는 의사들도 환자의 증상을 참고하여 진단하고 처방하였는데, 그것도 과학이라고 할 수 있었을까? 지금은 최첨단 장비가 있어 과학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지만 예전엔 과학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가 곤란하다. 최첨단 장비를 가지고 진단하여도 의사들의 오진은 ...
[이경국 칼럼] 소금에 대한 바른 이해
'소금'에 대하여 병원의 의사에게 이의를 제기하고 싶을 때가 많다.바다는 3%의 염분으로 넓은 바다를 청정하게 유지한다. 인체는 0.9%만의 염분으로 건강체를 유지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천일염(天日鹽)을 먹고부터 건강과 평균수명이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1912년 평균수명이 28세였다. 그런데 소금 섭취량이 늘어난 194...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26)떡에 꽂는 ‘서리화’의 의미
황해도 만신들이 굿을 할 때는 반드시 떡시루에 서리화를 꽂는다. 서리화라는 명칭은 나뭇가지에 서리가 내린 것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그러면 서리화는 단순히 굿상을 아름답게 하고 신령님들의 통로인 꽃과 같은 기능만 가진 것일까 의문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을 보면 ‘흰털이 난 소를 모우(旄牛)’라고하며 &l...
[이동식 역사칼럼] (3)입을 막을 수 없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헌법에 명시된 이 개념은 백성이 주인공인 민주주의 체제에다 모든 사람들이 고루 화목하게 살아야 한다는 공화정의 개념이 합쳐진 것인데, 우리가 민주주의를 주로 미국으로부터 배워왔고 최초의 공화정은 로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들었지만 공화정의 역사는 동양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의 역사에서 정...
[사설] 국회는 또 국민을 속였다
정기국회가 열렸다. 그러나 국민이 본 것은 민생 해법이 아니라 '한복'과 '상복'이었다. 기쁨과 축복의 옷, 죽음과 애도의 옷이 정치 쇼의 소품으로 전락했다. 국회는 또다시 국민을 속였다.정치는 이미 편 가르기와 이간질로 국민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런데 이제는 상징마저 왜곡해 분열을 키운다. 국민은 웃지도, 애도하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