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이경국 칼럼] 가을비 우산속
계절이 더위를 먹었는지 가을에 장맛비가 내리더니 수시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이러다간 만추(晩秋)에도 비가 내릴 것만 같다.가랑비인지 이슬비인지 헷갈리기도 한다. 모처럼 집에 오신 시어머니가 얼른 가라는 '가랑비' 인지 아니면 친정어머니께서 더 있으라고 내리는 '이슬비'인지 당최 종잡을 수가 없다.자연도 인간의 ...
-
[김주호 칼럼] 추석과 파소성모(婆蘇聖母)
설과 단오와 함께 추석(한가위)은 우리 민족의 3대 명절로 꼽힌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가윗날’이라고도 한다. 추석은 신라 개국 초부터 궁중의 왕족들과 백성들이 함께 어울려 펼친 축제일이었다. 한가위에 우리 손으로 우리 땅에 농사를 지은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등으로 하늘과 조상께 감사드리는 차...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30)성황당과 서낭당
우리는 성황당과 서낭당이 같은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성황당과 서낭당은 그 탄생 배경과 기능이 완전히 다르다.1904년 외국인 밀러 부르다레(mile Bourdaret)가 본 성황당에 대한 기록이다. Song-hang-Sine이라는 것은 성(城), 촌락(村落), 지방(地方) 또는 도시의 신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는 행여(行旅)를 안전하게 하고 도중에 ...
-
[이창준의 우리 민속 이야기] (4)물고기도 추석을 쇤다
음력 8월 15일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다. 햅쌀로 송편을 빚어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한 뒤, 온 가족이 모여 음식을 나누며 즐기는 날이다. 추석은 ‘한가위’·‘중추절’·‘가배’라고도 불린다. 모두 가을의 한가운데, 곡식이 무르익는 시기를 뜻한다.추석은 예로부터 풍요와 공동체의 기쁨을 ...
-
[김주호 칼럼] 개천절과 개천세(開天歲)
개천세는 하늘이 열린 날로부터 역사 시작단군왕검(檀君王儉)에 의해 옛 조선인 단군조선이 세워진 날을 기리는 개천절(開天節)은 원래 음력으로 지내 오던 것인데 해방 후 정부가 수립되면서 국경일을 양력으로 정례화하여 기리게 되었다. 그래서 양력 10월 3일로 정해 이날을 기리고 있다. 이날 정부는 물론 단군 국조를 숭봉하는 종교 ...
-
[이경국 칼럼] 색(色)다른 동요 풀이-섬집아기
동요는 순진무구한 어린 시절에 불렀던 노래이다. 얼마전 지인들에게 ''가을밤 외로운밤 벌레 우는 밤∼''을 카톡으로 전해 드린 적이 있다. 의외로 팬들이 열기가 뜨거웠다.이번에는 너무나 많이 흥얼거리는 동요 "엄마가 섬 그늘에 굴 따러 가면∼"을 풀이해 본다.이 노래는 한인현 작사, 이홍렬이 작곡한 대표적인 동요이...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29)솟대에 앉은 오리 세 마리
'솟대'는 나무나 돌로 만든 오리를 긴 장대 위에 앉혀 놓은 것을 말한다. 정월 대보름날 마을 굿이나 동제를 모실 적에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입구 등에 세웠다. 솟대의 시작은 한웅천왕이 신시를 열면서 천신을 모시기 위하여 만든 소도에 세우면서부터다. 솟대를 세운 곳은 신성한 곳으로 여겨 죄인이 들어와도 ...
-
[이동식 역사 칼럼] (5)군주의 폐단
중국 역사상 최고의 성대를 이룬 당 태종 이후 100여 년이 지난 당나라는 난국에 직면했다. 당시 하북(河北)과 하남(河南)의 각 번진(藩鎭)의 절도사(節度使)들이 동맹하여 당나라 조정과 전쟁을 벌였고, 관중(關中)에서도 이회광(李懷光) 등이 난을 일으켜 당나라의 9대 황제 덕종(德宗, 779~805)은 2차례에 걸쳐 수도인 장안(長安)을 탈출하여 ...
-
[이창준의 우리 민속 이야기] (3)한국인은 대식가
한국인은 ‘대식가(大食家)’였다. 수많은 역사적 기록이 증언한다.3세기 진수의『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고구려인을 “성질이 급하고 잘 먹는다(能食)”라고 적었고,『구당서』에는 신라인이 “술을 즐기며 음식을 많이 먹는다”라고 했다. 고려 시대 송나라 사신 서긍은『고려도경』에서 “연회에서 음식이 수십...
-
[이경국 칼럼] 허수아비의 변신
소싯적 들판의 허수아비는 남루한 몰골이었다. 짚이나 헌 옷으로 만들어 멀리서 보면 사람같이 보여 순진하던 참새나 짐승이 피했다고 한다.논밭의 곡식은 주로 참새가, 추수한 집안의 곡식은 쥐가 축을 냈다. 쥐잡기 운동이 학교마다 있었다. 쥐꼬리를 학교에 제출했다.친구는 쥐꼬리 대신 오징어의 긴 다리에 재를 묻혀서 제출했다가 선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