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전국 지가가 올해 3분기 0.58% 상승하며 2분기보다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025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이 0.5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025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이 0.58%를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지난 2분기(0.55%) 대비 0.0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전년 동기인 2024년 3분기(0.59%)보다는 0.01%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월별로는 7월부터 9월까지 상승세가 이어졌다. 9월 지가변동률은 0.20%로 8월(0.19%)과 지난해 같은 달(0.19%)보다 각각 0.01%포인트 올랐다. 이로써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상승 전환 이후 31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0.80% 상승하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서울은 1.07% 상승해 17개 시·도 중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용산구(1.96%), 강남구(1.68%), 서초구(1.35%) 등 고가 주거지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7일 `2025년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했다.
반면 지방은 0.19%로 전 분기(0.22%)보다 하락했고,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0.13%에 그쳐 비대상지역(0.62%) 대비 0.49%포인트 낮았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69%)과 상업지역(0.67%)의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0.65%)과 상업용(0.66%)에서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농림지역(0.18%)과 자연환경보전지역(0.04%) 등은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토지 거래량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3분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44만5천 필지로 2분기 대비 6.0% 줄었으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8.1%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4만3천 필지로 전 분기보다 9.8%, 전년 동기 대비 4.9% 각각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부산(11.9%)과 충북(5.0%)을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전체 토지 거래량이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2.9%)과 경기(0.3%)에서만 증가했다.
거래유형별로는 상업지역(1.4%)과 공장용지(6.5%), 상업업무용(6.9%)에서 거래가 늘었으나, 주거용(-9.9%)과 나지(-5.3%)는 감소했다. 특히 전과 답 등의 농지 거래는 각각 -5.6%, -19.5%로 큰 폭으로 줄었다.
이번 통계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R-ONE)과 국토교통 통계누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