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애플데이, 사과로 마음을 잇다… 시민 참여형 행사 코엑스몰서 열려
10월 24일 한국사과연합회가 사과를 매개로 진심을 전하는 ‘애플데이’ 행사를 서울 스타필드 코엑스몰 라이브플라자에서 진행했다. ‘애플데이’는 매년 10월 24일 서로에게 사과하며 화해하는 날로, 올해는 사과를 통해 사랑과 감사를 나누는 참여형 행사로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사과우체국’, ‘사과로드’, ‘사과나무 카드걸렸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콘텐츠로 꾸려졌다. 방문객들은 ‘사과로드’에 사과 메시지를 붙이며 마음을 표현하고, ‘사과우체국’에서는 감성 엽서를 통해 미처 전하지 못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엽서를 보낸 이들에게는 사
삼성전자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 캠페인’ 실시
삼성전자가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 ※ PC 점검 서비스센터가 위치한 삼성스토어 117개점 이번 캠페인은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자들의 기기 점검과 지난 14일 보안 업데이트 등 ‘윈도 10(Windows 10)’ 운영체제 지원 종료에 따른 ‘윈도 11(Windows 11)’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돕기 위해 진행된다. 기간 중 삼성스토어에 방문한 고객은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 11(Win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에 따르면, 전체 장애인 고용률은 3.21%로 전년 대비 0.04%p 상승했다. 장애인 고용인원은 총 298,654명으로 전년보다 7,331명 증가했다.
`24년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 평균 3.21%로 전년 대비 0.04%p 상승했다.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은 국가·지방자치단체와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사업체 총 32,692개소이며, 의무고용률은 공공부문 3.8%, 민간부문 3.1%로 설정되어 있다. 의무고용률 상향과 함께 장애인 고용률과 고용 규모는 꾸준한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증 장애인과 여성 장애인의 고용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체 장애인 근로자 중 중증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5.8%로 전년(35.0%)보다 0.8%p 상승했으며, 여성 장애인 비중도 28.7%로 전년(27.9%)보다 0.8%p 증가했다. 이는 2020년부터 이어져 온 중증 및 여성 장애인 고용 확대 추세가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기업의 고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민간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3.03%로 전년 대비 0.04%p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상승세를 유지하며, 법정 의무고용률(3.1%)과의 격차가 0.07%p로 좁혀진 것으로,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최저 수준이다. 민간부문 고용인원 증가는
6,914명으로, 전체 증가분(7,331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1,000인 이상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 개선이 뚜렷했다.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2.97%로 전년 대비 0.09%p 상승하며 전체 고용률 상승을 이끌었다. 이는 2021년 2.73%에서 꾸준히 상승해온 추세의 연장선이다.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3.9%로 의무고용률(3.8%)을 초과 달성했다. 세부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5.92%로 가장 높았고, 공공기관 4.05%, 중앙행정기관 3.36%, 헌법기관 2.83%, 교육청 2.52% 순이었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에 큰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원·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에서는 장애인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권진호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장애인 한 분이라도 더 일할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장애인 고용 컨설팅 제공,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 완화 등을 통해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부문도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장애인 채용을 독려하고, 연계고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인 고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장애인 고용률의 꾸준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공공부문 내 특정 기관의 채용 부진과 의무고용률에 아직 도달하지 못한 민간부문의 상황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