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샵 ‘궁키친 이상민’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 달성
GS샵에서 전개 중인 간편식 브랜드 ‘궁키친 이상민’이 론칭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을 기록했다. ‘궁키친 이상민’은 2023년 12월 ‘궁키친 특갈비탕’으로 시작한 간편식 브랜드다. 이상민 씨가 ‘집밥보다 맛있는 집밥’을 모토로 직접 상품 기획부터 양념 개발까지 주도하며 이끌고 있다. 첫해 주문액 100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0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00% 성장했다. 궁키친 이상민 간편식을 구매한 고객 수만 30만 명에 달한다. GS샵을 대표하는 한식 브랜드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대표
삼성전자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 운영
삼성전자가 다양한 혜택과 특별한 게이밍 체험을 제공하는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을 15일부터 운영한다. 서울 파르나스몰과 경기도 스타필드 수원에서 각각 11월 15일~23일, 11월 29일~12월 7일까지 운영되는 이번 체험존에서는 삼성 오디세이 게이밍 모니터와 최신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최신 게임을 체험해볼 수 있다. ‘오디세이 OLED G9’ 체험존에서는 일렉트로닉 아츠(EA) 축구 게임 ‘EA 스포츠 FC™ 26’을 16:9 대비 2배 커진 32:9 비율을 통해 기존 보다 넓은 시야로 즐길 수 있다. ‘오디세이 O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산업·에너지 분야 연구개발(R&D) 지원을 본격화한다. 산업부는 올해 100개 이상의 AI 기반 기술개발 과제를 추진하며, 연구·기업·인재 탐색을 위한 `Tech-GPT`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올해 100개 이상의 AI 기반 기술개발 과제를 추진하며, 연구 · 기업 · 인재 탐색을 위한 `Tech-GPT`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해 10월 `AI+R&D 추진전략`을 발표한 이후, AI를 활용한 기술개발이 산업계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기반 연구설계 및 실험 자동화 프로젝트 600개를 2032년까지 추진하며, 연구행정 전반에도 AI를 적용할 계획이다.
최근 진행된 수요 조사에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재생에너지 등 13개 산업 분야에서 총 881건의 AI 기술개발 수요가 접수됐다. 산업부는 이를 토대로 74개 과제를 1차 공고했으며, 상반기 내 추가로 30개 이상을 공고할 예정이다.
1차 공고된 주요 과제로는 △협동로봇용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실증(93.8억 원, 4년) △합성 의료데이터 활용 AI 의료기기 개발(178억 원, 5년) △탠덤구조 전계발광 양자점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36억 원, 5년) 등이 포함됐다. AI를 활용해 기술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연구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용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 이 모델은 사전 학습된 대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 현장에서 맞춤형 AI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표적으로 △산업용 화합물 물성 예측 AI △공정 최적화를 위한 다이나믹스 AI 모델 등이 있으며, 반도체·철강·배터리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 예정이다.
AI와 로봇공학을 접목한 `자율실험실`도 올해부터 시범 운영된다. 첫 번째 프로젝트로 표면처리용 도금액 개발을 자동화하는 실험이 추진되며, 향후 자율실험실을 체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글로벌 기술·기업·인재를 탐색하는 `Tech-GPT` 서비스는 오는 4월 14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실시한다. 10월부터는 미국, 중국, 일본, EU, 한국의 특허 1억 1천만 건과 최신 논문 2억 2천만 건을 학습해, 무료 기술정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AI가 혁신 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됐다"며 "정부는 AI 기반 기술혁신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과감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