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샵 ‘궁키친 이상민’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 달성
GS샵에서 전개 중인 간편식 브랜드 ‘궁키친 이상민’이 론칭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을 기록했다. ‘궁키친 이상민’은 2023년 12월 ‘궁키친 특갈비탕’으로 시작한 간편식 브랜드다. 이상민 씨가 ‘집밥보다 맛있는 집밥’을 모토로 직접 상품 기획부터 양념 개발까지 주도하며 이끌고 있다. 첫해 주문액 100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0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00% 성장했다. 궁키친 이상민 간편식을 구매한 고객 수만 30만 명에 달한다. GS샵을 대표하는 한식 브랜드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대표
삼성전자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 운영
삼성전자가 다양한 혜택과 특별한 게이밍 체험을 제공하는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을 15일부터 운영한다. 서울 파르나스몰과 경기도 스타필드 수원에서 각각 11월 15일~23일, 11월 29일~12월 7일까지 운영되는 이번 체험존에서는 삼성 오디세이 게이밍 모니터와 최신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최신 게임을 체험해볼 수 있다. ‘오디세이 OLED G9’ 체험존에서는 일렉트로닉 아츠(EA) 축구 게임 ‘EA 스포츠 FC™ 26’을 16:9 대비 2배 커진 32:9 비율을 통해 기존 보다 넓은 시야로 즐길 수 있다. ‘오디세이 O
LG화학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조 1,962억 원, 영업이익 6,797억 원의 경영실적을 거뒀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38.9% 증가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LG화학
LG화학은 31일 실적 발표를 통해 “석유화학 부문의 흑자 전환, 생명과학 라이선스아웃 선급금 수취,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개선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의 성장과 전 밸류체인에 걸친 비용 절감 활동이 수익 개선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은 “3분기는 전 사업부의 체질 개선이 본격화된 시기”라며 “글로벌 수요 부진 속에서도 고부가·고수익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 신사업 발굴과 운영 효율화를 통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 4,609억 원, 영업이익 291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영향과 전방산업 수요 둔화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원료가 하락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과 비용 절감 노력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4분기에는 수요 부진과 대산공장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손실이 예상된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8,382억 원, 영업이익 73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종료로 전지재료 출하가 줄었으나,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이 견조하게 유지됐다. 4분기는 전지재료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과 전자소재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전망된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3,746억 원, 영업이익 1,006억 원을 달성했다. 희귀 비만치료제 라이선스아웃 잔여 계약금 수취로 실적이 개선됐지만, 4분기에는 일회성 수익의 기저효과와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 6,998억 원, 영업이익 6,013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종료 등 수요 약세가 이어졌지만, 북미 ESS(에너지저장장치) 및 소형전지 신제품 출하 확대와 비용 절감으로 손익이 개선됐다. 4분기에는 북미 전기차 수요 둔화와 유럽 내 가격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신규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수주 확보와 북미 시장 대응에 주력할 방침이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1,015억 원, 영업손실 200억 원을 기록했다. 해외 고객의 재고 조정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4분기에는 국내외 작물보호제 판매 확대로 매출 및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