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샵 ‘궁키친 이상민’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 달성
GS샵에서 전개 중인 간편식 브랜드 ‘궁키친 이상민’이 론칭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을 기록했다. ‘궁키친 이상민’은 2023년 12월 ‘궁키친 특갈비탕’으로 시작한 간편식 브랜드다. 이상민 씨가 ‘집밥보다 맛있는 집밥’을 모토로 직접 상품 기획부터 양념 개발까지 주도하며 이끌고 있다. 첫해 주문액 100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0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00% 성장했다. 궁키친 이상민 간편식을 구매한 고객 수만 30만 명에 달한다. GS샵을 대표하는 한식 브랜드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대표
삼성전자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 운영
삼성전자가 다양한 혜택과 특별한 게이밍 체험을 제공하는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을 15일부터 운영한다. 서울 파르나스몰과 경기도 스타필드 수원에서 각각 11월 15일~23일, 11월 29일~12월 7일까지 운영되는 이번 체험존에서는 삼성 오디세이 게이밍 모니터와 최신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최신 게임을 체험해볼 수 있다. ‘오디세이 OLED G9’ 체험존에서는 일렉트로닉 아츠(EA) 축구 게임 ‘EA 스포츠 FC™ 26’을 16:9 대비 2배 커진 32:9 비율을 통해 기존 보다 넓은 시야로 즐길 수 있다. ‘오디세이 O
현대건설이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대형원전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글로벌 원전 시장 진출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현대건설-페르미 아메리카 `복합 에너지 및 인공지능(AI) 캠퍼스 내 대형원전 기본설계 용역 계약 체결`. 현대건설 이한우 대표(왼쪽)와 페르미 뉴클리어 메수트 우즈만 대표(오른쪽)가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 사옥에서 `복합 에너지 및 인공지능(AI) 캠퍼스 내 대형원전 기본설계 용역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24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미국의 에너지 디벨로퍼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와 ‘복합 에너지 및 인공지능(AI) 캠퍼스’ 내 대형원전 4기 건설을 위한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FEED)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서명식에는 현대건설 이한우 대표와 페르미 뉴클리어 메수트 우즈만(Mesut Uzman) 대표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이후 이 대표는 홍콩에서 페르미 아메리카의 토비 노이게바우어(Toby Neugebauer) CEO와 만나 본 사업의 EPC(설계·조달·시공) 추진 계획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계약은 지난 7월 체결된 업무협약(MOU)에 이어 구체적 사업 단계로 진입한 첫 성과로, 현대건설은 부지 배치 계획, 냉각 방식 검토, 예산 및 공정 산출 등 원전 건설의 기본설계를 수행하게 된다. 양사는 내년 상반기 EPC 본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통합 인허가 절차를 검토 중이다.
프로젝트가 진행될 ‘복합 에너지 및 인공지능 캠퍼스’는 텍사스주 아마릴로 외곽 약 2,119만㎡ 부지에 조성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민간 전력망 단지(HyperGrid™)로, △AP1000 대형원전 4기(4GW) △SMR(소형모듈원전·2GW) △가스복합화력(4GW) △태양광 및 배터리저장시스템(1GW) 등 총 11GW급 발전 인프라와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통합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현대건설은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내 대형원전 건설을 국내 기업 최초로 수행하게 되며, 원전 건설 역사에서 ‘온 타임·온 버짓(On Time·On Budget)’—예정 기한과 예산 내 완공—을 유일하게 달성한 실적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다질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페르미 아메리카는 설립 9개월 만에 나스닥과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하는 등 강력한 추진력을 입증한 기업”이라며 “이번 계약을 통해 양국의 원전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글로벌 에너지 안보와 청정 전력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페르미 아메리카는 전 미 에너지부 장관 릭 페리(Rick Perry)와 토비 노이게바우어가 공동 설립한 미국의 민간 에너지 개발사로, 총사업비 약 5천억 달러 규모의 ‘복합 에너지 및 AI 캠퍼스’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건설은 글로벌 원전 EPC 시장 확대와 함께 한미 에너지 파트너십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본격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