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애플데이, 사과로 마음을 잇다… 시민 참여형 행사 코엑스몰서 열려
10월 24일 한국사과연합회가 사과를 매개로 진심을 전하는 ‘애플데이’ 행사를 서울 스타필드 코엑스몰 라이브플라자에서 진행했다. ‘애플데이’는 매년 10월 24일 서로에게 사과하며 화해하는 날로, 올해는 사과를 통해 사랑과 감사를 나누는 참여형 행사로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사과우체국’, ‘사과로드’, ‘사과나무 카드걸렸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콘텐츠로 꾸려졌다. 방문객들은 ‘사과로드’에 사과 메시지를 붙이며 마음을 표현하고, ‘사과우체국’에서는 감성 엽서를 통해 미처 전하지 못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엽서를 보낸 이들에게는 사
삼성전자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 캠페인’ 실시
삼성전자가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 ※ PC 점검 서비스센터가 위치한 삼성스토어 117개점 이번 캠페인은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자들의 기기 점검과 지난 14일 보안 업데이트 등 ‘윈도 10(Windows 10)’ 운영체제 지원 종료에 따른 ‘윈도 11(Windows 11)’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돕기 위해 진행된다. 기간 중 삼성스토어에 방문한 고객은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 11(Win
아디다스, 서울 성수동에 ‘CAFÉ 3 STRIPES SEOUL’ 오픈
글로벌 리딩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서울 성수동에 ‘아디다스 카페 3 STRIPES 서울(CAFÉ 3 STRIPES SEOUL)’을 오픈한다. ‘CAFÉ 3 STRIPES SEOUL’은 카페의 본질은 담은 공간이면서도, 스포츠와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나누며 즐거움을 찾아나가는 커뮤니티 허브다. 콘크리트와 벽돌이 조화를 이루는 클래식한 외벽과 철제 구조물이 어우러진 독일의 인더스트리얼한 디자인의 외관이 눈에 띄며, 아디다스를 상징하는 삼선(3 STRIPES)을 인테리어 곳곳에 반영해 브랜
이경국(칼럼니스트. 박약회 운영위원)소싯적 들판의 허수아비는 남루한 몰골이었다. 짚이나 헌 옷으로 만들어 멀리서 보면 사람같이 보여 순진하던 참새나 짐승이 피했다고 한다.
논밭의 곡식은 주로 참새가, 추수한 집안의 곡식은 쥐가 축을 냈다.
쥐잡기 운동이 학교마다 있었다. 쥐꼬리를 학교에 제출했다.
친구는 쥐꼬리 대신 오징어의 긴 다리에 재를 묻혀서 제출했다가 선생님께 혼이 나기도 했었다. 오징어는 귀했는데 아마 제사를 지내고 나서 오징어 다리를 하나 떼었다는 생각이 든다.
못 살던 시대의 허수아비는 차림새조차 초라한 형색이었다. 지금은 허수아비를 보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그러나 허수아비의 의상이나 모자의 색채도 요란하고 고급스러워졌다. 요즘 참새는 워낙 머리가 좋아져서 가짜인 허수아비를 알아차린다고 한다.
지금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하면서 걷는데 참새가 모를 턱이 없다는 것이다.
어릴적 초가지붕의 추녀 끝 구멍에서 잠자고 있는 참새를 잡아서 구워 먹던 추억이 선하다. 낮에는 산태미를 세워서 그안에 먹이를 두면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지 않듯, 먹이를 먹으려고 들어 오면 줄을 당겨서 잡은 기억도 있다.
손을 넣어서 참새를 꺼내는데 잘못하면 놓치고 만다. 다잡은 참새를 실수로 그만 날려 보낸 기억도 있다.
누렇게 익은 들녘에 참새가 극성을 부렸다. 참새를 쫒기위해 세운 허수아비는 이제 아련한 추억 속의 기억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허수아비는 안동방언으로 '히재비'라 불렀다. 농(弄)으로는 '허수의 부친'이라고도 하였다.
지나간 것은 모두가 아름답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허수아비도 기억 속에 그나마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 있어서 다행이다.
쌀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쌀의 재고가 있다고 북에다 퍼다 주는 객기를 부리기도 했다. 보관하기가 힘든다는 등 호들갑을 떨고 있다. 세계는 식량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참새가 웃을 짓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어머니 세대가 벼 낱알을 줍는 모습을 보면서 자란 필자는 어려서부터 근검을 익혔던 셈이다.
메뚜기도 제철이 있듯이 지금은 허수아비의 시즌이다. 양팔을 벌리고 수고하는 허수아비의 모습이 익살스럽긴 하다.
수천 년을 함께 해온 우리의 문화이기에 허수아비는 마음속에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