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샵 ‘궁키친 이상민’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 달성
GS샵에서 전개 중인 간편식 브랜드 ‘궁키친 이상민’이 론칭 2년 만에 누적 주문액 300억 원을 기록했다. ‘궁키친 이상민’은 2023년 12월 ‘궁키친 특갈비탕’으로 시작한 간편식 브랜드다. 이상민 씨가 ‘집밥보다 맛있는 집밥’을 모토로 직접 상품 기획부터 양념 개발까지 주도하며 이끌고 있다. 첫해 주문액 100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0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00% 성장했다. 궁키친 이상민 간편식을 구매한 고객 수만 30만 명에 달한다. GS샵을 대표하는 한식 브랜드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대표
삼성전자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 운영
삼성전자가 다양한 혜택과 특별한 게이밍 체험을 제공하는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을 15일부터 운영한다. 서울 파르나스몰과 경기도 스타필드 수원에서 각각 11월 15일~23일, 11월 29일~12월 7일까지 운영되는 이번 체험존에서는 삼성 오디세이 게이밍 모니터와 최신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최신 게임을 체험해볼 수 있다. ‘오디세이 OLED G9’ 체험존에서는 일렉트로닉 아츠(EA) 축구 게임 ‘EA 스포츠 FC™ 26’을 16:9 대비 2배 커진 32:9 비율을 통해 기존 보다 넓은 시야로 즐길 수 있다. ‘오디세이 O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2026년 예산안을 전년 대비 21.4% 늘어난 13조 8,778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2026년 예산안을 전년 대비 21.4% 늘어난 13조 8,778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산업부 출범 이래 최대 규모로,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AI) 전환, 첨단 및 주력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 통상·수출 대응 강화, 공급망 안정, 지역 균형성장 등 6대 분야에 중점 투자된다.
이번 예산은 2025년 본예산 11조 4,336억 원보다 2조 4,443억 원 증가했으며, 추경을 포함한 12조 8,605억 원과 비교해도 7.9% 확대됐다. 산업부는 관행적 지출과 중복사업을 정비해 절감한 재원을 성장동력 확충에 재투자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산업 전반의 AI 전환(AX) 예산은 5,651억 원에서 1조 1,347억 원으로 2배 확대됐다. ‘AI 팩토리 선도 프로젝트’는 618억 원 늘어난 2,200억 원이 배정돼 2030년까지 자율제조 AI 팩토리 500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제조·물류·건설 현장에 투입될 ‘피지컬 AI’ 개발 예산도 4,022억 원으로 대폭 확대되며, 국산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사업(1,851억 원)도 신규 편성됐다.
첨단·주력산업 분야는 1조 6,458억 원이 배정돼 반도체 미니팹 기반구축(1,157억 원), 첨단 패키징 기술(392억 원), 조선 자율운항선박과 한-미 협력센터 설립(66억 원) 등이 포함됐다. 디스플레이·배터리·바이오 등 신산업에도 신규 투자가 이뤄진다.
재생에너지 분야는 1조 2,703억 원으로 42% 증액됐다. 신재생 금융지원은 6,480억 원, 보급지원은 2,021억 원으로 확대됐으며,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와 대형 풍력 블레이드 개발 등 핵심기술 R&D도 강화된다. 차세대 분산전력망 구축(1,196억 원), SMR 혁신제조 국산화(81억 원) 등도 포함됐다.
통상·수출 대응 예산은 1조 7,353억 원으로 68% 확대됐다. 무역보험기금 출연액은 6,005억 원으로 늘었으며, 미국 관세에 따른 긴급지원 바우처(424억 원), 유통기업 해외진출 지원(500억 원) 등이 새로 마련됐다.
공급망 강화를 위해 소부장 공급망 지원(1,350억 원), 핵심광물 재자원화(38억 원) 사업이 신설됐다. 또한 지역 균형성장을 위한 예산은 8,835억 원으로 확대돼 산업단지 환경조성(4,073억 원), RE100 산단 구축(261억 원), 지역혁신클러스터(R&D 803억 원) 등이 추진된다.
산업부는 “2026년 예산은 단순한 규모 확대가 아니라 산업 전환과 혁신을 뒷받침하는 성장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국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는 대로 속도감 있게 집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