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애플데이, 사과로 마음을 잇다… 시민 참여형 행사 코엑스몰서 열려
10월 24일 한국사과연합회가 사과를 매개로 진심을 전하는 ‘애플데이’ 행사를 서울 스타필드 코엑스몰 라이브플라자에서 진행했다. ‘애플데이’는 매년 10월 24일 서로에게 사과하며 화해하는 날로, 올해는 사과를 통해 사랑과 감사를 나누는 참여형 행사로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사과우체국’, ‘사과로드’, ‘사과나무 카드걸렸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콘텐츠로 꾸려졌다. 방문객들은 ‘사과로드’에 사과 메시지를 붙이며 마음을 표현하고, ‘사과우체국’에서는 감성 엽서를 통해 미처 전하지 못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엽서를 보낸 이들에게는 사
삼성전자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 캠페인’ 실시
삼성전자가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 ※ PC 점검 서비스센터가 위치한 삼성스토어 117개점 이번 캠페인은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자들의 기기 점검과 지난 14일 보안 업데이트 등 ‘윈도 10(Windows 10)’ 운영체제 지원 종료에 따른 ‘윈도 11(Windows 11)’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돕기 위해 진행된다. 기간 중 삼성스토어에 방문한 고객은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 11(Win
아디다스, 서울 성수동에 ‘CAFÉ 3 STRIPES SEOUL’ 오픈
글로벌 리딩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서울 성수동에 ‘아디다스 카페 3 STRIPES 서울(CAFÉ 3 STRIPES SEOUL)’을 오픈한다. ‘CAFÉ 3 STRIPES SEOUL’은 카페의 본질은 담은 공간이면서도, 스포츠와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나누며 즐거움을 찾아나가는 커뮤니티 허브다. 콘크리트와 벽돌이 조화를 이루는 클래식한 외벽과 철제 구조물이 어우러진 독일의 인더스트리얼한 디자인의 외관이 눈에 띄며, 아디다스를 상징하는 삼선(3 STRIPES)을 인테리어 곳곳에 반영해 브랜
이경국(칼럼니스트.박약회 운영위원)
장수시대이니 노인이 많아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생로병사의 과정에서 노인이 되어 병이 들고 죽음에 이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자연현상일 것이다.
노인이 행복한 나라가 최상의 복지국가로 보면 되지 않을까 싶다. 우리나라의 노인은 일생 동안 희생하고 일만 하면서 나라 발전을 이룩한 애국자임은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은 국가와 사회 그리고 가족의 무관심 속에 허탈한 만년(晩年)을 외롭게 보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흔히 말하는 인생의 3대 불행은 초년 성공, 중년 상처, 노년 빈곤이다. 이 가운데 '노년 빈곤'은 죽음보다 무서운 현실이기에 문제가 심각하다.
이는 초고령 사회의 비극이긴 하지만 우리나라가 더욱 극심한 편이라고 한다. 하루 10.5명이 극단 선택을 한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생명은 귀천이 없다. 노인의 죽음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젊은이와 노인의 생명에 차이를 둔다면 이는 야만사회이다. 인간의 수명 가치는 물건처럼 내용연수로 따지는 것이 아니다.
말로만 노인을 '어르신'이라고 부르라고 하면서 대책이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노인과 바다>를 <어르신과 바다>로 바꾼다면 소설의 묘미를 상실하고 말 것이다.
말만 번지르르하게 떠들 것이 아니라 노인에 대한 집중적인 보살핌이 필요한 시점이다. 시니어의 성(性)생활에 대한 관심조차 없는데 어떻게 성숙한 선진국이 된다는 말인가?
국회의원과 보좌관의 숫자를 대폭 줄이자. 인구 대비 국회의원 수가 너무 많고, 비생산적 인데 비하여 혜택은 엄청나다. 그 재원을 노인 지원 정책에 투입할 것을 제안한다.
지금의 노인은 우리나라가 짚신을 신다가 고급 구두를 신을 수 있도록 험한 일을 했던 희생의 세대이다.
전철을 탈 때마다 경로 우대석 노인의 모습을 살펴보는 버릇이 생겼다. '노인 표시'도 굽은 허리에 지팡이가 그려져 있다. 차라리 장미꽃 두 송이로 표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의 노인들은 한 시대를 살면서 부모 세대에 효를 다 했고 자녀 교육에 허리띠를 졸라 매었다. 노년에는 대우도 받지 못하고 독거노인으로 지내고 있으니 인생의 비애가 어떨까. 처절한 그 모습을 상상해 보라!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노인이 없도록 적극적인 돌봄과 정책이 필요하다.
노인의 경험을 중히 여겨 간단한 일거리라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공원에 모여 앉아서 마치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듯한 하릴없는 모습을 보노라면 정말 답답하다.
노인의 경험은 도서관 하나와 같다고 한다. 그들을 외면하거나 선거 때마다 폄하하는 발언을 한다. 그들은 늙지도 않고 죽는지 여간 궁금하지 않다.
어른 공경을 근간으로 삼았던 우리 민족의 미덕이 압축성장의 그늘에 가려져 한숨으로 변하고 말았으니 여간 안타깝지 않다.
주름진 얼굴이지만 잔잔한 웃음이 번지는 어르신이 많아지도록 모두가 관심을 기울였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